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
- 인간의 평등을 확인하며 인간 능력의 한계를 뛰어 넘는 감격의 대축제
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
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의 전신인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(FESPIC : Far East and South Pacific Games for the Disabled)는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 42개 회원국이 참가하는 4년 주기의 하계 종합국제경기대회로 시작하였음. 1970년 아세안 5개국(인도네시아, 필리핀, 말레이시아, 태국 및 싱가포르)은 장애인 재활사업을 목적으로 스포츠 전담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, 가칭 ASSOD(아세안장애인스포츠기구) 설립을 일본 등 선진 국가에 건의하는 등 아시아를 대변하는 장애인스포츠기구 설립의 단초를 마련함. 같은 시기에 장애인 병원 및 재활시설을 운영하던 일본 오이타의 유다카 나카무라 박사가 아세안 5개국뿐만 아니라, 아시아 전역 및 태평양 국가로 대상 지역의 확대를 도모, 이후 1974년 10월 8일 아시아태평양장애인대회연맹(FESPIC Games Federation)을 정식 발족하였음.
2006년 쿠알라룸푸르 FESPIC 대회 이후, IPC의 대륙별 기구 정립 정책에 맞춰, 각 대륙별 지역위원회가 재편되면서 종전 FESPIC 연맹 ?비회원국인 중동 국가들이 합류하고, 호주ㆍ뉴질랜드 등 태평양 지역이 제외되면서, APC(Asian Paralympic Committee)가 새롭게 설립하였으며 이후 대회명도 2010년부터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(Asian Para Games)로 변경하였음.
* 다만, 대회 정통성 계승을 위해 FESPIC 대회를 포함하여 대회 횟수 합산
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는 올림픽ㆍ패럴림픽과 마찬가지로 아시안게임 직후, 관례적으로 동일 장소에서 개최 중에 있음. 단, APC 및 OCA 간에 IOC - IPC 상호발전 협약과 같이 아시안게임ㆍ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동반개최 명문화 조약이 없는 관계로, 대회개최 여부가 개최국의 의지에 달려있는 등 불안정한 환경에 있음.
회수 | 대회명 | 개최년도 | 개최지 | 종합순위 | 홈페이지 |
---|---|---|---|---|---|
13 | 제 13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2023년 | 항저우-중국 | 4위 | 바로가기 |
12 | 제 12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2018년 | 자카르타-인도네시아 | 2위 | 바로가기 |
11 | 제 11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2014년 | 인천-한국 | 2위 | 바로가기 |
10 | 제 10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2010년 | 중국-광저우 | 3위 | - |
9 | 제 9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2006년 | 말레이시아-쿠알라룸푸르 | 3위 | - |
8 | 제 8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2002년 | 부산-한국 | 2위 | - |
7 | 제 7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99년 | 방콕-태국 | - | - |
6 | 제 6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94년 | 북경-중국 | 3위 | - |
5 | 제 5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89년 | 고베-일본 | 4위 | - |
4 | 제 4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86년 | 수라카르타-인도네시아 | - | - |
3 | 제 3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82년 | 홍콩 | - | - |
2 | 제 2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77년 | 파라마타-호주 | - | - |
1 | 제 1회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| 1975년 | 오이타-일본 | - | - |